[공동보도자료] 교원3단체 성명서 - 교육지원청 단위에도 교권보호센터를 설치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천교총 작성일25-08-21 10:14 조회1회 댓글0건첨부파일
-
[공동보도자료]교원3단체성명서-교육지원청단위에도교권보호센터를설치하라.hwp (160.0K) 0회 다운로드 DATE : 2025-08-21 10:14:26
관련링크
본문
교육지원청 단위에도 교권보호센터를 설치하라
최근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와 교육활동이 위축되고, 교권 침해 사례가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다. 「교권 5법」이 2023년부터 시행된 지 2년이 지났지만, 2025년 교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긍정적인 변화 체감 없음’이 79.3%(교총), ‘교권 보호 미흡’이 81%(전교조)로 나타났다. 교사가 마음 놓고 학생을 가르칠 수 없는 현실은 교육 붕괴로 직결되며, 이는 학생과 학부모, 나아가 사회 전체의 손실로 이어진다.
정부와 교육청은 교권 보호 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장의 체감도는 여전히 낮다. 특히 광역 교육청에만 설치된 교권보호센터로는 각 지역 학교의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렵다. 교권 보호의 핵심은 ‘사후 수습’이 아니라 ‘사전 예방’과 ‘즉각 대응’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지원청 단위에 교권보호센터를 설치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긴급 지원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 13일 교권 보호를 국정과제로 포함해 발표했다. 이에 우리는 정부와 시·도교육감에게 다음과 같은 실천과제를 제안하며, 그 이행을 강력히 촉구한다.
1. 모든 교육지원청에 교권보호센터 설치
현행 교권보호센터는 광역 교육청에만 설치되어 있어, 물리적 거리와 행정 절차로 인해 대응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사건 발생 시 당일 현장 방문과 긴급 대응이 가능한 것은 교육지원청 단위 센터다. 교육지원청은 지역 교육환경과 학교 특성을 잘 알고 있어, 지역별 교권 침해 유형에 맞춘 맞춤형 지원과 장기적 예방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2024년 교사노조연맹 설문조사에서는 교권 침해를 경험한 교사의 68%가 “도움 요청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응답했으며, 전교조 조사에서는 학교 민원 대응팀 시스템에 만족하지 않거나 존재조차 모른다는 응답이 84.9%에 달했다. 이는 접근성과 상담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지원청 단위 센터 설치가 절실함을 보여준다.
또한, 2023년 개정된 「교권 5법」은 교육청이 교원 지위 향상과 교권 보호를 위한 조치를 마련할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이 법의 취지를 실질화하려면 광역 교육청뿐만 아니라 모든 교육지원청까지 센터 설치를 확대해야 한다.
심리 상담·법률 지원·갈등 조정 등은 사건 발생 초기일수록 효과가 크며, 교육지원청 단위의 상시 지원은 피해 교사의 복귀와 교육활동 정상화 속도를 단축시킨다. 현재의 대다수 교육지원청이 지역교권보호위원회 운영에만 머물러 있으므로 상향된 교육활동 지원체제 마련이 절실하다.
2. 전문 인력의 상시 배치
교육지원청 교권보호센터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전문직 정원 확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일반직 정원과는 별도로, 교육활동 보호를 전담할 교육전문직(장학관·장학사)의 정원을 별도로 신설하여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각 교육지원청에 교권보호센터를 설치해 접근성을 높이고, 센터별 업무 강도를 고려하여 교권 전문 인력(교육활동 보호 담당 장학관·장학사, 파견교사, 법률 전문가 등)의 확충과 상시 배치를 병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일부 센터는 인력 부족으로 상담과 법률 지원을 외부 위탁에 의존하거나, 법률 검토에만 수 주 이상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교육활동 보호를 전담하는 교권 전문 장학사는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여 분쟁을 조기에 해결할 수 있다. 법률 전문가는 교사의 정당한 교육활동을 법적으로 방어하고, 부당한 민원이나 고소·고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 상담사는 피해 교사의 심리 회복을 돕고 교육활동 복귀를 지원할 수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부터 25개 시·군 교육지원청별로 교권보호지원센터를 설치해 90여 명의 장학관·장학사·주무관·상담사·변호사가 근무하며 현장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