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교육 활성화 교원 인식조사 결과 발표 > 교총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교육 활성화 교원 인식조사 결과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천교총 작성일25-01-10 08:34 조회7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교원 84%, 학교 경제교육 중요하다불구

학교 경제교육 충분히 하고 있다 14% 불과

교총-한국경제인협회, 2030대 초고 교사 1,021명 설문조사 결과 발표

교사 72% 인터넷, TV 등 통해 경제 교육 받아학교는 단 9%

학교 경제교육 문제점은 이론 중심(28%), 입시 밀려 소홀(27%) 지적

경제교육 환경 개선 방안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교사 연수 확대 꼽아

교총한경협, 9~102030 경제캠프 진행현대, 네이버 기업탐방도

교사가 경제 알아야 학교 교육도 변해피부 와닿는 연수 계속 마련


1. 2030대 젊은 교사들의 84%는 학교 경제교육이 중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정작 학교에서 경제교육을 충분히 하고 있다는 답변은 14%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교사들도 경제 관련 교육을 인터넷, TV 등에 의존한다는 응답이 72%에 달했다.

 

2.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강주호)와 한국경제인협회(회장 류진)는 지난해 1121~1224, 전국 초2030대 교사 1,0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제교육 활성화 교원 인식조사결과를 10일 발표했다.

 

3. 이에 따르면 먼저 학교 경제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84%중요하다’(매우 중요 51%, 중요 33%)고 답했다. ‘보통이다12%, ‘중요하지 않다4%에 불과했다.

4. 이처럼 학교 경제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과 달리 실제 학교 경제교육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경제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매우 충분 3%, 충분 11%)는 답변은 14%에 그쳤다. 반면 학교 경제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전혀 이루어지지 않음 15%, 이루어지지 않음 36%)는 응답은 51%로 절반을 넘었다.

 

5. 이렇다 보니 교사들도 경제에 대한 교육을 학교 밖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을 주로 받는 곳은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44%)‘TV, 라디오, 서적, 신문, 잡지’(28%)로 드러났다. 반면 학교()’라는 응답은 9%뿐이었고 교사 대상 직무연수8%에 불과했다.

 

6. 학교 경제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론 중심, 실생활과 연관성 부족’(28%)1순위로 꼽았다. ‘입시 교육 환경으로 경제 교육 소홀’(27%)도 주요하게 지적했다. 이어 경제교육 자료 부족’(18%), ‘경제교육 전담교사 부족’(17%) 순이었다.

 

7. 학교 경제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경제 관련 교재 및 자료 개발’(32%),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30%)를 주요하게 꼽았다. 이어 현장 체험학습 기회 확대’(18%), ‘학생들의 경제 관련 동아리 활동 지원’(13%), ‘경제의 수능 필수과목 지정’(6%) 순으로 나타났다.

 

8. 교사 연수를 어떤 형태로 해야 가장 도움 되겠느냐는 문항에는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산업체 견학, 캠프 등)’(4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총안내 공지사항 개인정보취급방침

인천광역시 교원단체총연합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119(숭의동 60-24)다복빌딩 7층 우편번호 22105

TEL : 032-876-0253 ~ 4 | FAX : 032-876-0686

Copyright © 인천광역시 교원단체총연합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