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교육 활성화 교원 인식조사 결과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천교총 작성일25-01-10 08:34 조회75회 댓글0건첨부파일
-
[교총보도자료] 경제교육 활성화 교원 인식조사 결과 발표.hwp (75.5K) 8회 다운로드 DATE : 2025-01-10 08:34:21
관련링크
본문
교원 84%, 학교 경제교육 “중요하다” 불구
학교 경제교육 “충분히 하고 있다” 14% 불과
교총-한국경제인협회, 20‧30대 초‧중‧고 교사 1,021명 설문조사 결과 발표
교사 72% “인터넷, TV 등 통해 경제 교육 받아”…학교는 단 9% 뿐
학교 경제교육 문제점은 ‘이론 중심’(28%), ‘입시 밀려 소홀’(27%) 지적
경제교육 환경 개선 방안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교사 연수 확대 꼽아
교총‧한경협, 9~10일 ‘2030 경제캠프’ 진행…현대, 네이버 기업탐방도
“교사가 경제 알아야 학교 교육도 변해…피부 와닿는 연수 계속 마련”
1. 20‧30대 젊은 교사들의 84%는 학교 경제교육이 ‘중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정작 학교에서 경제교육을 ‘충분히 하고 있다’는 답변은 14%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교사들도 경제 관련 교육을 인터넷, TV 등에 의존한다는 응답이 72%에 달했다.
2.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강주호)와 한국경제인협회(회장 류진)는 지난해 11월 21일~12월 24일, 전국 초‧중‧고 20‧30대 교사 1,0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제교육 활성화 교원 인식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3. 이에 따르면 먼저 학교 경제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84%가 ‘중요하다’(매우 중요 51%, 중요 33%)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12%, ‘중요하지 않다’는 4%에 불과했다.
4. 이처럼 학교 경제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과 달리 실제 학교 경제교육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경제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매우 충분 3%, 충분 11%)는 답변은 14%에 그쳤다. 반면 학교 경제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전혀 이루어지지 않음 15%, 이루어지지 않음 36%)는 응답은 51%로 절반을 넘었다.
5. 이렇다 보니 교사들도 경제에 대한 교육을 학교 밖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을 주로 받는 곳은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44%)와 ‘TV, 라디오, 서적, 신문, 잡지’(28%)로 드러났다. 반면 ‘학교(초‧중‧고‧대)’라는 응답은 9%뿐이었고 ‘교사 대상 직무연수’도 8%에 불과했다.
6. 학교 경제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론 중심, 실생활과 연관성 부족’(28%)을 1순위로 꼽았다. ‘입시 교육 환경으로 경제 교육 소홀’(27%)도 주요하게 지적했다. 이어 ‘경제교육 자료 부족’(18%), ‘경제교육 전담교사 부족’(17%) 순이었다.
7. 학교 경제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경제 관련 교재 및 자료 개발’(32%),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30%)를 주요하게 꼽았다. 이어 ‘현장 체험학습 기회 확대’(18%), ‘학생들의 경제 관련 동아리 활동 지원’(13%), ‘경제의 수능 필수과목 지정’(6%) 순으로 나타났다.
8. 교사 연수를 어떤 형태로 해야 가장 도움 되겠느냐는 문항에는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산업체 견학, 캠프 등)’(4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