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교육부 예산안에 대한 입장 > 교총뉴스

본문 바로가기


 

2025년 교육부 예산안에 대한 입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천교총 작성일24-08-27 14:45 조회332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교육 질 제고와 환경 개선,교권 보호 등

교육 본질예산 감소 없도록 우선 배정해야!

지방교육재정교부금3.4조원 늘었다지만 인건비,물가상승률 등 자연 증가분 및

늘봄,유보통합,고교학점제, AIDT등 굵직한 국책사업 감안하면 실질 감액 우려

누리과정 갈등재현 않도록 교부금 아닌 추가 예산 안정적 확보 반드시 추진을

2023, 2024년 세수 추계 오류로 교부금 급감혹시 모를 세수 결손 대비 필요

학교 안전사고 보상 신청 급증관련 예산 확충해 악성 민원,교권 침해 예방해야

국회는 어느 때보다 촘촘히 예산 심의하고,교육청은 교육 본질 예산 우선 확보!

 

 

1.교육부가1048,767억원 규모의‘2025년 교육 예산안27일 발표했다.이에 따르면 유보통합 추진에 따른 영유아 보육 관련 예산이 포함되면서 영유아 및 초중등교육 예산은 올해보다7.6조원이 늘어난81.3조원으로 편성됐다.이 중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72.3조원으로 올해보다3.4조원이 늘었고,유보통합 추진에 따라 보건복지부 영유아 보육 사업 예산5.4조원이 새롭게 이관됐다.

 

2.이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직무대행 문태혁)지난해와 올해 재정 당국의 세수 추계 오류로 교부금이 급감한 데 반해 내년 교육 예산은 증액 편성돼 다행이라고 밝혔다.

 

3.이어다만 교직원 인건비 인상,물가 상승 등 자연 증가분을 반영하고 늘봄학교,고교학점제,유보통합, AI디지털교과서 등 굵직한 국책사업 소요 비용을 감안하면 교부금3.4조원 증가가 실질적으로는 감액 수준이 아닌지 우려가 있다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교육의 질 제고 및 교육환경 개선,안전한 학교 구축,교권 보호 등 교육 본질 예산이 감소하지 않도록 우선 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4.교총은학생 수가 감소해 그 정도 교부금이면 지방교육재정에 여유가 있다는 일각의 주장이 있지만 이는 교육재정 지출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학생 수가 아닌 학급 수임을 간과한 데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와 관련해 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최근5년간(2018~2023)초중고 학생 수는375,220명 감소했지만 학급 수는2018232,277개에서2023235,535개로 늘었다.또한 교원 수도201843817명에서202344497명으로 증가했다.교부금에서 교직원 등의 인건비,학교회계전출금,공공요금 등 고정경비 비중은80%에 달한다.

 

5.또한언론 보도에 따르면 올해만11,657억원을 투입하는 늘봄학교,올해만12,000억원(2029년까지69,131억원 소요)이 투입되는AI디지털교과서 도입,단계적 무상 실현과 교사 대 영유아 비율 개선에 지금보다 최소3.5조원이 더 필요하다는 유보통합,운영 방식규모에 따라 몇 조원이 더 필요한지 가늠하기도 힘든 고교학점제 등 국책사업에 예산이 쏠릴 경우 자칫 더 시급한 교육 본질예산이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특히 유보통합과 관련해지자체의 영유아 보육 경비 부담과 교육비 특별회계로의 전출을 의무화할 법적 근거를 마련해,과거 누리과정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예산 갈등이 재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6.아울러내년도 세수 전망을 낙관만 할 게 아니라 혹시 모를 세수 결손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실제로 재정 당국의 세수 추계 오류로2023년 하반기 교부금이103000억원 급감했고,올해 교부금 역시 지난해 본예산보다69000억원 감액돼 교육청들이지방채 발행까지 고려하는 실정이다.일선 학교에서 기본적인 교육활동이 차질을 빚을까 우려되는 이유다.

 

7.따라서 무엇보다 교육 여건환경 개선을 위해 우선적인 예산 배정이 필요하다는 게 교총의 주장이다.교총은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키우는 맞춤교육 실현,이를 위한 학급당 학생수 감축과 지속적인 정규교원 확충,고교의20%넘는 비정규직 교사(기간제교사)문제 해소,초등12학년 체육 분리에 따른 교과전담교사 및 실내 체육시설 확충,교원 행정업무 이관폐지를 위한 학교지원전담기구 확대 등에 우선적인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또한학급당21명 이상 학급이 전체에75%에 달하고,학교 건물의40%가까이가30년 넘은 노후 건물이며,석면이 철거되지 않은 학교가40%,학생 체격에 걸맞지 않고 내구 연한이 지난 책걸상,분필 칠판,화변기가 아직도 수두룩한 학교에서 미래교육을 얘기할 수 없고,학생교직원의 건강도 보장하기 어렵다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개선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9.이어특히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기본 조건은 교권 확립이라며교원의 교육활동을 보호하고 수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충분한 예산을 반드시 편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0.이와 관련해 교총은교권 침해 교원 지원을 위한 소송비 및 변호사 지원 예산교육지원청 단위 민원대응팀 구성운영,시스템 구축 예산정서행동위기학생 전문적 진단상담치료회복 위한 외부 전문인력기관 확충 예산수업방해 학생 등 분리 위한 별도 공간인력 확보 예산안전한 학교 조성을 위한 외부 출입 절차 강화 예산교원배상책임보험 운영체제 개선 및 보상액범위 확대 예산교육지원청 이관 교권보호위원회 내실 운영을 위한 예산 등의 우선 편성을 요구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총안내 공지사항 개인정보취급방침

인천광역시 교원단체총연합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119(숭의동 60-24)다복빌딩 7층 우편번호 22105

TEL : 032-876-0253 ~ 4 | FAX : 032-876-0686

Copyright © 인천광역시 교원단체총연합회. All rights reserved.